|
오르고 또 오르는 사료값, 대책 없나
|
|
|
|
국제 곡물값 상승 등의 여파로 연초부터 사료값이 인상돼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축산농가와 관련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에서 사료가격안정기금과 같은 제도적 완충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
가격안정기금 도입 등 농가부담 경감 급선무
새해 초부터 배합사료값이 또 올랐다. 일부 대형 업체는 국제 곡물값 급등과 해상 운송료 상승 등에 따른 원가부담을 이유로 이미 사료값을 전격 인상했으며, 나머지 업체들도 인상폭과 시기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꿈틀대는 사료값=국내 1위 사료업체인 애그리브랜드퓨리나코리아를 비롯해 일부 대형 사료업체들은 지난해 12월 말 사료값을 올려 올 1월부터 적용하고 있다.
축종별로 인상된 사료값을 보면 비육우용의 경우 1㎏당 평균 24~25원, 양돈용은 26~28원, 양계용은 30~32원씩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중소 사료업체들도 시장 상황을 주시하며 조만간 평균 7~8% 내외로 사료값 인상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배합사료값은 지난 2006년 11월 이후 현재까지 5차례에 걸쳐 35%가량 인상된 셈이다. 문제는 사료값이 올 상반기 안에 한두차례 더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곳곳에 인상요인=전 세계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곡물 소비가 크게 늘고 있고, 고유가에 따라 미국·유럽·일본 등이 바이오연료 생산에 박차를 가하면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원료가 되는 옥수수 등 곡물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옥수수 1t당 국제 시세는 지난해 하반기 235~240달러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더니 새해 들어서는 315달러까지 치솟았다. 밀 1t 값도 지난해 하반기보다 10%가량 상승한 상태다.
특히 중국이 올해 1년간 옥수수·콩 등 57개 곡물에 대해 5~25%의 수출세를 부과키로 하는 등 곡물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으며, 매년 바이오연료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돼 국제 곡물값은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여기에다 사료용 곡물의 국제 해상운송비도 크게 오르고 있어 사료업체들의 원가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미국발 해상 운송료(1t당)는 지난해 50달러 수준에서 100달러 가까이 뛰었고, 중국과 인도에서 들어오는 곡물 운송비도 50% 이상 올랐다.
사료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 곡물값이 연초 대비 50%가량 급등해 이번 배합사료값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면서 “원료비 부담이 줄지 않아 올 3월에 또 한차례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축농가, 경영에 악영향=배합사료값이 오르게 되면 축산농가 경영비도 그만큼 늘어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수입 축산물과 경쟁관계에 있는 현실에서 축산농가의 경영비가 늘어날 경우 국내산 축산물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악화돼 농가 소득이 감소할 것으로 우려된다.
축산물 생산비(2006년 기준) 가운데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한우 비육우 27.2%, 한우 송아지 38.6%, 비육돈 45.6%, 달걀 48.9%, 육계 50.5% 등으로 조사됐다. 이는 사료값이 축산물 생산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 최근 한 배합사료업체가 사료값 인상에 따른 축종별 농가소득 상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료값이 5% 오르고 산지 가축값이 5% 떨어질 경우 한우 비육우는 42만1,000원, 한우 번식우는 45만3,000원씩 농가 수익이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돼지·산란계·육계·젖소 사육농가들도 사료값이 오르면 수익성 악화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 완화장치 마련 시급=축산업계에선 국내 축산업 여건이 날로 악화되는 상황에서 사료값마저 계속 오르자 축산업의 경쟁력 악화를 우려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대한양돈협회는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사료값 인상으로 농장의 경영 악화는 이미 불가피한 상황이며, 생산성이 향상돼도 사료값 상승세를 극복하지 못할 것”이라며 “정부와 사료업계는 양돈산업이 쓰러지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축산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핵심 대책은 사료값 인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사료가격 안정기금제 도입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사료 원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일본의 경우 지난 2006년 하반기 이후 사료가격을 40% 이상 인상했지만 일본의 양축농가들이 사료를 구입할 때 실제 부담한 추가 비용은 5~6%에 불과했던 것은 사료가격안정기금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축산업계는 강조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사료값 안정을 위해 통상가격차보전금사업과 이상가격차보전금교부사업 등 2가지 기금제도를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가격차보전금제사업은 전국농협연합·품목농협연합·일반사료회사 등 3개 민간단체가 적립금을 조성, 당해 분기의 배합사료값이 직전연도 평균값을 넘는 경우 초과분에 한해 보전금을 지급하고 있다. 국가보조금이 투입된 이상가격차보전금은 곡물값이 이상적으로 급등해 배합사료값이 급격히 오른 경우에 지급하는데, 이 사업은 배합사료공급안정기구라는 별도 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농림부의 한 관계자는 “축산업계에서 사료가격안정기금 도입을 수차례 건의해 와 현재 이를 검토하는 단계”라며 “사료값이 안정되지 않으면 우리 축산업에 치명적인 손실이 미치는 만큼 정부도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출처 : 농민신문 2008년 1월 9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