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현실적 브루셀라 보상비, 농업인 폭발 직전
|
|
|
|
‘쥐꼬리’ 보상책에 우는 ‘농심’ |
장맛비가 내리는 10일 오전, 전북 정읍시 신원동 시골동네 한 축사 앞에는 대형트럭까지 동원해 벽을 치고 있는, 긴장감 도는 대치국면이 보름째를 맞고 있다. 을씨년스럽기까지 하다.
지난달 25일 브루셀라에 걸린 한우 21마리를 신고한 상태에서 농장주와 방역당국이 맞서고 있다. ‘가져가서 살처분해야 한다’는 방역 당국과 ‘보상도 제대로 안 해 주면서 그냥 뺏길 순 없다’는 농가가 한냉전선을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인수공통전염병에 걸린 소 21마리는 보름간 방치되고 있다. 사람에게 전염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취재 다음날인 11일 강제 살처분 처리 됐다는 농장주의 전화를 받았다. 대치 상황이 종료된 것.
이 농가는 지난 2003년 브루셀라 발병으로 1억여원의 손해를 입었고, 재기에 나서 2005년부터 다시 사육을 시작했으나 오늘같은 상황을 맞았다. 이대로라면 약 3억원의 피해가 발생되고 당연히 다시 일어날 기력이 없다는 게 농장주의 한숨 섞인 한마디다.
농장주인 유선화(사진)씨는 연거푸 슬프다고 토로한다. “아직 살아있는 새끼 같은 소를 굶겨 죽일 수는 없기에 사료는 줬지만, 뺏기면 그냥 망하는 거거든요. 정부도 모르는 발병원인을 나보고 어쩌라구요.”라고 울먹이던 유씨의 목소리가 자꾸 절박하다.
최근 축산농가들에게서 심심치 않게 거론되는 ‘브루셀라 불만족 현상’이다. 정부는 소 브루셀라병 근절을 위해 시세의 100% 지원하던 살처분 보상비를, 일부 농가들이 병에 대해 안일하게 대처한다는 이유로 지난해 11월 80%로 줄였다. 올해 4월에는 이를 60%만 적용하고 있다.
문제는 보상비가 현실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병이 발생해도 신고를 꺼린다는 점이다. 여기에 일부 농가들은 밀도축을 감행, 유통상을 통해 거래하고 있다는 소문도 회자되고 있다.
이를 감사원도 지적하고 나섰다. 감사원은 12일 ‘축산물 안전관리 및 방역사업 추진실태’ 감사결과 보고에서 “브루셀라병이 암수 구분없이 감염되는 병인데도, 농림부가 일부 종자용 씨소를 제외한 모든 수소와 10마리 미만의 사육농가를 검사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면서 매매와 이동을 통한 감염 위험성이 크다고 시정 명령을 내렸다.
|
|
|
출처 : 농업인신문 2007년 7월 13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