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식우질병

홈 > 정보마당 > 한우질병관리 > 번식우질병

요네병(만성설사병)

이 병은 유럽, 영국, 미국, 인도, 일본, 남아프리카, 호주, 남아메리카 및 캐나다 등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 발생은 1983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젖소에서 처음으로 발생된 이래 매년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질병은 소, 양, 산양, 사슴 등 되새김질하는 동물(반추동물)에 발생되는 만성소모성 질병이며, 세균성 전염병으로써 법정전염병으로 규정되어 있다.
원인
요네병균이 원인이고 가성결핵균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요네병을 가성결핵병이라고도 하지만 결핵병과는 전혀 다른 질병이다. 전파는 감염된 동물의 분변에 의해 오염된 사료나 물에 의해 일어나며, 태반을 통해 태아에 전파된다. 감염된 어미소의 젖을 빨아먹은 송아지는 거의 100% 감염되고 약 15개월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이 균은 분변속에서 200 ~ 300일 동안 생존하기 때문에 질병이 감염된 소가 방목된 지역에 다른 소를 방목시킴으로써 오염된 풀이나 물을 먹고 감염이 확산된다. 특히 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류지역의 하천유역에 사육되는 소는 감염되기 쉽다. 그리고 증상을 나타내기 전(15 ~ 20개월 동안)에 분변으로 균을 배출하므로 한 마리가 증상을 나타나면 전체우군의 감염정도는 심각하다.
증상
15 ~ 20개월의 잠복기를 거쳐 2 ~ 8세의 성우에 발생한다. 분만이나 다른 질병으로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증상을 나타내므로 분만후 몇주일(1 ~ 2주일) 이내에 갑자기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소가 점차 마르고 묽은 연변이나 물같은 설사를 한다. 분변은 균질하고 악취가 없으며 혈액이나 점액은 섞여 나오지 않는다. 설사를 계속적으로 하기도 하며, 했다 그쳤다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설사가 시작되기 약 1 개월전부터 마르기 시작(10 ~ 70%의 체중감소)하고 유량도 점차 감소(20 ~ 30% 감소)한다. 설사는 말기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설사는 초기에 어느정도 치료되는 듯 하다가 다시 심한 설사가 발생되어 치료되지 않고 결국 죽고 만다. 유방염 발생이 증가하고 수태율이 떨어진다. 더욱 진행되면 빈혈이 발생하고 아래턱 부분이 부어오른다. 말기에는 식욕이 없어지고 탈수증상을 나타내며 일어서기를 싫어한다. 부검하면 대장 점막이 두텁게 부어있고(점막의 비후)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병은 영양불량증, 창상성 제2위염이 만성형, 간농양, 콕시듐병, 비브리오성 설사, 세균성 신우신염 및 기생충감염증과 혼돈되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요네병의 특징은 설사와 더불어 만성적으로 점차 마르며 동시에 여러마리가 발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주로 큰소에만 발병한다는 점과 만성적으로 마를 만한 이유(기생충감염, 사료의 불량, 과거의 질병 등)가 없다는 점 등으로 다른 질병과는 대략 감별할 수 있다.
예방
아일랜드에서는 예방주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우결핵양성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하기 곤란하다. 외부에서 소를 구입할 때 검사한 후 구입하는 것이 최선이 방책이다.
치료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다. 치료하는 기간동안 질병이 전파되는 것은 물론 치료경비와 노력이 많이 들어가 비경제적이므로 발견되는 즉시 도태처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한가지 검사방법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요닌검사(피내반응검사), 혈청검사, 균배양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어느것 하나에만 양성반응을 보여도 무조건 도태한다. 양성인 농장도 6개월 간격으로 검사하여 도태시켜 나가면 3년후에도 근절시킬 수 있다. 발병되었던 우사는 5% 크레졸용액이나 석탄산 용액으로 소독한다. 염소를 함유한 소독제(예: 하라솔) 또는 가성소다액(양잿물)은 일반적인 소독농도에서는 효과가 없다.

정보마당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