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성질병

홈 > 정보마당 > 한우질병관리 > 전염성질병

소의 블루텅

본 병은 비접촉성 전염병으로 불현성 감염과 발열, 약한 증세의 구내염, 전신수척, 파행증이 특징이며 등애모기(Culicoides variipennis)에 의해 간접 전파된다.

증체량 감소, 사료효율 감소, 육질저하로 사양가의 경영에 큰 문제를 갖고 있는 질병이다. 또한 양, 산양, 사슴 등의 반추동물에서도 중요 질병이다.
발생
아열대, 온대지방 등 전세계에 분포하고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특히 다습한 시기에 다발하며 겨울과 더불어 사라진다. 중증의 경우는 소보다 양, 산양, 사슴에서 발병한다.
증상
보통 불현성 감염상태로 지속되며 임상증상은 경증형(Mild BT)과 급성형(Acute BT)으로 구별된다.
  • (가) 경증형
    대부분이 이 형에 속하며 한정지역내에서만 발병. 바이러스혈증(Viremia)으로 일시적인 발열, 경증의 백혈구 감소증, 경한 강직증, 파행증, 식욕감퇴와 더불어 입술, 잇몸, 콧등에 뚜렷하지 않은 난반이 나타난다.
  • (나) 급성형
    드물게 나타나나 유행을 나타낸다. 잠복기는 5~7일을 거쳐 발열(41℃), 침울, 식욕감퇴, 입과 코에서 진물이 나옴, 잇몸·입술·콧등에 충혈, 난반형성.
혀는 자청색으로 변하며 난반이 형성된다. 근육의 강직, 파행증, 발굽과 뿔주위에 국소적인 피부염이 나타나고 증체가 중단됨. 이환율은 개체에 따라 다양하나 폐사율은 없다.
치료
  • · 항생제와 설파제의 투여 (비노탈-10수용산, 설파벹 수용산, 로이코마이신)
  • · 연한 사료급여와 영양제 투여 (그로빅-BC)
  • · 마취용 스프레이(spray)나 연고로 구강내의 통증격감
예방
  • · 흡혈곤충 구제
  • · 생독예방백신 투여
  • · 그늘막(shelter)설치시 전등시설을 하지 말 것.

정보마당

페이지 맨 위로 이동